반응형

관목 130

섬백리향 (울릉백리향)

섬백리향 (울릉백리향)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섬백리향 (울릉백리향)꿀풀과 백리향속 / 낙엽활엽소관목잎은 마주나기하며 난상 타원형이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거나 물결모양 톱니가 있다.꽃은 총상꽃차례이며 잎겨드랑나 가지끝에 달리고 연분홍색으로 6~7월에 핀다.열매는 분과이며 암갈색으로 9~10월에 성숙한다.원줄기는 백리향보다 굵은 편이다.꽃과 전초에 향기가 있다.울릉도에서 자란다고 울릉백리향이라고도 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양지나 음지에서 자란다.꽃말은 향기, 용기 등이다. 이상은 섬백리향 (울릉백리향)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8.27

백리향

백리향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백리향분류 : 꿀풀과 백리향속 / 낙엽활엽소관목잎은 마주나기하며 난상 타원형이고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거나 간혹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꽃은 잎겨드랑이나 가지끝에 달리고 분홍색으로 6~8월에 핀다.꽃은 입술모양이다.열매는 분과이며 암갈색으로 9~10월에 성숙한다.향기가 백리간다는 뜻의 이름이다.유사종인 섬백리향은 원줄기가 더 굵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양지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 자란다.꽃말은 용기 등이다. 이상은 백리향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8.26

산딸기 Wild Strawberries

산딸기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산딸기 Wild Strawberries분류 : 장미과 산딸기속 / 낙엽활엽관목.잎은 어긋나기하며 삼각상 달걀형이고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는 이중톱니가 있다.꽃은 흰색으로 4~5월에 핀다.열매는 취과이며 붉은색으로 6~8월에 성숙한다.줄기는 적갈색이고 가시가 있다.익은 열매는 먹을 수 있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양지에서 자란다.꽃말은 존중 등이다.이상은 산딸기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8.18

장딸기 Hirsute raspberry

장딸기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장딸기 Hirsute raspberry분류 : 장미과 산딸기속 / 낙엽활엽소관목잎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겹입이고 소엽은 3~5개로 달걀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다.꽃은 흰색으로 3~5월에 피며 꽃잎은 5개이다.열매는 붉은색으로 6~8월에 성숙한다.줄기는 가시가 있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양지의 적당한 습기가 있는 곳이 좋다.꽃말은 '달콤한 향기' 등이다.이상은 장딸기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8.16

미선나무

미선나무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미선나무분류는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속 / 낙엽활엽관목잎은 마주나기하고 2줄로 나며 달걀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꽃은 총상꽃차례이며 흰색, 연한 분홍색 등으로 3~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꽃은 종모양이며 4갈래로 갈라지고 꽃에 향기가 있다.열매는 시과이며 9월에 성숙하며 작은 부채 모양이다.줄기의 가지는 아래로 처지며 자줏빛이 돈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추위에 강하며 습기가 있는 양지가 좋다.꽃말은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이다.이상은 미선나무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8.16

오미자 五味子

오미자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미자 五味子오미자과 오미자속 / 낙엽활엽덩굴성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작은 치아모양 톱니가 있다.꽃은 암수딴그루이며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유백색으로 4~6월에 핀다.꽃잎은 6~9개이며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많다.열매는 장과로이며 8~10월에 붉은색으로 성숙한다.열매는 단맛, 신맛 등 맛이 5가지라 하여 오미자(五味子)라 하며 차로 우려 마시고 강장제로 약용으로도 사용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산골짜기 서늘한 곳에서 자라며 사질토양이 좋다.꽃말은 재회 등 이다.이상은 오미자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8.12

명자꽃(명자나무)

식물- 명자꽃(명자나무) 에 대해 형태와 특징,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명자꽃(명자나무)장미과 명자나무속 / 낙엽활엽관목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가장자리는 잔톱니가 있다.꽃은 흰색, 분홍색, 붉은색으로 4~5월에 핀다.꽃잎은 5개이다.열매는 이과이며 모과를 닮았고 10월에 성숙한다.일년생 가지에는 가시가 있다.산당화라고도 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양지의 통풍이 잘되는 곳이 좋다.꽃말은 순수한사랑, 평범 등이다.이상은 식물- 명자꽃(명자나무) 에 대해 형태와 특징,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6.22

자엽박태기

식물- 자엽박태기 에 대해 형태와 특징,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자엽박태기콩과 박태기속 / 낙엽활엽관목꽃은 산형꽃차례이며 홍자색으로 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잎이 적자색이다.열매는 갈색으로 8~9월에 성숙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추위에 강하며 양지나 반그늘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 자란다.꽃말은 의리, 희생 등이다.원산지는 북아메리카 이다.이상은 식물- 자엽박태기 에 대해 형태와 특징,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6.21

흰박태기나무

식물- 흰박태기나무 에 대해 형태와 특징,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흰박태기나무콩과 박태기나무속 / 낙엽활엽관목꽃은 산형꽃차례이며 나비 모양이고 흰색으로 5~9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열매는 협과이며 8~9월에 성숙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추위에 강하며 양지나 반그늘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 자란다.꽃말은 의리, 희생 등이다.이상은 식물- 흰박태기나무 에 대해 형태와 특징,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6.21

박태기나무

식물- 박태기나무 에 대해 형태와 특징,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박태기나무콩과 박태기나무속 / 낙엽활엽관목꽃은 산형꽃차례이며 나비 모양이고 홍자색으로 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열매는 협과이며 8~9월에 성숙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추위에 강하며 양지나 반그늘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 자란다.꽃말은 의리, 희생 등이다.이상은 식물- 박태기나무 에 대해 형태와 특징,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