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75

정향풀(정자초)

정향풀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정향풀(정자초)협죽도과 정향풀속 / 여러해살이풀잎은 어긋나기 또는 마주나기하며 피침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꽃은 취산꽃차례이며 5월에 하늘색으로 핀다.열매는 골돌과이며 7~8월에 성숙한다.꽃 옆모양이 丁字를 닮아 정자초라고도 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들에서 자란다.꽃말은 '첫사랑' 등이다. 이상은 정향풀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초화류 2025.10.28

뽀리뱅이

뽀리뱅이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뽀리뱅이국화과 뽀리뱅이속 / 두해살이풀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나오며 깃꼴로 갈라지며 끝부분의 갈래가 가장 크다.줄기잎은 없거나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진다.꽃은 두상화는 산방상 원뿔모양꽃차례이며 노란색으로 4~6월에 핀다.설상화만 있고 통상화는 없다.줄기와 잎에는 털이 있다.열매는 수과이며 6~7월에 성숙하고 관모는 흰색이다.전초는 나물로 먹을 수 있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길가나 풀밭 등에서 자란다.꽃말은 순박 등이다.이상은 뽀리뱅이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초화류 2025.10.05

은사초

은사초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은사초사초과 사초속 / 여러해살이풀꽃은 5~7월에 핀다.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기하며 단면이 삼각형이다.잎이 은빛이라 아름답다.원산지는 유럽이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월동이 가능하며 양지의 배수가 잘되는 곳이 좋다.꽃말은 위안, 자중 등이다. 이상은 은사초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초화류 2025.10.04

녹귀란 Sedum Hernandezii

녹귀란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녹귀란 Sedum Hernandezii돌나물과 돌나물속 / 다육식물잎은 마주나기로 돌려나며 난상 원형이다.잎 표면은 거북등 같이 얼룩무늬가 있다.꽃은 노란색으로 핀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양지나 반그늘의 배수가 잘되는 곳이 좋다.꽃말은 희망 등이다. 이상은 녹귀란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모시대 (모싯대)

모시대 (모싯대)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모시대 (모싯대)초롱꽃과 잔대속 / 여러해살이풀잎은 어긋나기하며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예리한 톱니가 있다.꽃은 원뿔모양꽃차례이며 원줄기 끝에 달리고 자주색으로 8~9월에 핀다.꽃부리는 5갈래로 갈라지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열매는 삭과이며 10월에 성숙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숲속의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꽃말은 모성애 등이다. 이상은 모시대 (모싯대)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초화류 2025.09.09

흰줄무늬억새 (참억새 바리에가투스)

흰줄무늬억새 (참억새 바리에가투스)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흰줄무늬억새(줄무늬참억새) 참억새'바리에가투스'분류 : 벼과 참억새속 / 여러해살이풀잎은 어긋나기하며 선형이고 흰줄무늬가 있고 가장자리는 까칠하다.꽃은 8~9월에 적갈색으로 핀다.열매는 영과이다.참억새의 변이종이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노지월동 가능하며 양지나 음지의 배수가 잘 되는 곳이 좋다.꽃말은 '활력' 등이다. 이상은 흰줄무늬억새 (참억새 바리에가투스)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초화류 2025.08.30

섬백리향 (울릉백리향)

섬백리향 (울릉백리향)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섬백리향 (울릉백리향)꿀풀과 백리향속 / 낙엽활엽소관목잎은 마주나기하며 난상 타원형이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거나 물결모양 톱니가 있다.꽃은 총상꽃차례이며 잎겨드랑나 가지끝에 달리고 연분홍색으로 6~7월에 핀다.열매는 분과이며 암갈색으로 9~10월에 성숙한다.원줄기는 백리향보다 굵은 편이다.꽃과 전초에 향기가 있다.울릉도에서 자란다고 울릉백리향이라고도 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양지나 음지에서 자란다.꽃말은 향기, 용기 등이다. 이상은 섬백리향 (울릉백리향)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8.27

백리향

백리향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백리향분류 : 꿀풀과 백리향속 / 낙엽활엽소관목잎은 마주나기하며 난상 타원형이고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거나 간혹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꽃은 잎겨드랑이나 가지끝에 달리고 분홍색으로 6~8월에 핀다.꽃은 입술모양이다.열매는 분과이며 암갈색으로 9~10월에 성숙한다.향기가 백리간다는 뜻의 이름이다.유사종인 섬백리향은 원줄기가 더 굵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양지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 자란다.꽃말은 용기 등이다. 이상은 백리향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관목 2025.08.26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왕고들빼기분류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 / 한해 or 두해살이풀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는 결각상이거나 깃모양으로 갈라진다.잎자루는 없다.꽃은 머리모양꽃차례이며 연노란색으로 7~9월에 핀다.꽃은 설상화만 있고 통상화는 없다.열매는 수과이며 9~10월에 성숙하고 관모는 흰색이다.줄기를 자르면 흰색 진액이 나온다.잎은 식용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길가나 풀밭 에서 자란다.꽃말은 모정 등이다. 이상은 왕고들빼기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초화류 2025.08.25

고들빼기

고들빼기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고들빼기국화과 고들빼기속 / 두해살이풀근생엽은 가장자리는 빗살처럼 갈라지며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밑부분은 넓어져 원줄기를 감싸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꽃은 가지 끝에 두상화가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으로 4~9월에 핀다.열매는 수과이며 관모는 흰색이다.식용 및 약용으로도 이용된다.키우기 환경(자라는 환경)은 산과 들의 양지에서 자라며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나 양토가 좋다.꽃말은 순박함 등이다. 이상은 고들빼기 식물에 대해 특징과 구별, 키우기(자라는 환경), 꽃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초화류 2025.08.24